본문 바로가기

행복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2 - 탁월성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2 - 탁월성 탁월성은 그의 윤리학에 있어서 행복 구현의 핵심이 된다. 행복(eudaimonia)은 그의 윤리학의 시작점이자 귀결점이라고 한다면 탁월성은 행복을 이해하는 큰 축이다. 탁월성은 무엇이든 좋은 상태에 있게 만들고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성격적 탁월성 탁월성은 영혼의 탁월성이다. 그것의 한 부분은 성격적 탁월성이다. 습관의 결과로 나타나는 부분들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에서 발생되는 것은 세 가지로 생각했다. 하나는 감정이고, 다른 하나는 능력, 다른 하나는 품성상태이다. 그러나 감정이 탁월성을 드러낸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부분이 아니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능력은 우리가 감정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고 말할 수 ..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1 - 행복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1 - 행복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자체로 추구하는 것이면서, 다른 것이 이것을 추구해야 하고, 모든 것의 목적이 다른 것이 아닌 것을 최상의 목적이라고 생각했다. 우리 모두의 최종 목적은 무엇일까? 그는 “인간적인 좋음”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세상에는 너무 많은 목적들이 있다. 그리고 그 목적들은 서로 대립하기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하나만 완벽한 것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찾아야 한다. 그런 것은 언제나 그 자체로 선택되는 것이면서, 다른 것 때문에 선택되지 않는 것일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것을 ‘행복(eudaimonia)’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것을 위해서 선택하지도 않고 동시에 다른 것들이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서 추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행복이 완전..
도덕적 공리주의, 덕윤리, 의무론적 윤리 우선 행동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도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다. 각각의 도덕률은 행동에 대한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위해서 기준을 무엇으로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들이다. 또한 행동을 어느 지점에서 판단 내려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는 결과적으로 인간 존재에 대한 고찰이 있어야 한다. 인간이란 존재에 대한 고찰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역시 도덕에 대한 근본적인 입장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덕적 행위를 함으로써 얻는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본다면 우리는 그 도덕론의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에 맞춰서 각각의 도덕론을 비교하고자 한다. 첫 번째 조건은 옳고 그름의 판단 방식이다. 두 번째 조건은 인간 존재에 대한 판단이..